동맥경화(Atherosclerosis)란?
동맥경화 는 동맥(Artery) 벽에 콜레스테롤(Cholesterol), 지방질(Lipids), 칼슘(Calcium) 등이 쌓이면서 플라크(Plaque)를 형성하고, 혈관 내강(Lumen)을 좁아지게 하거나 막히게 만드는 심혈관 질환(Cardiovascular Disease)입니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심혈관 질환은 전 세계 사망 원인의 약 **31%**를 차지하며, 그중 상당수가 동맥경화 로 인한 관상동맥질환(CAD, Coronary Artery Disease)과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
1. 정의와 원인
1) 정의(Definition)
LDL 콜레스테롤(Low-Density Lipoprotein, “나쁜 콜레스테롤”) , 중성지방(Triglyceride), 칼슘 등이 혈관 벽에 침착되어 플라크를 형성.
플라크가 점차 커지면 혈류(Blood Flow)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심근경색(Myocardial Infarction), 뇌졸중(Stroke) 등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2) 원인(Etiology) & 위험 요인(Risk Factors)
높은 LDL 콜레스테롤
일반적으로 LDL 콜레스테롤은 100 mg/dL 미만 을 목표로 하며, 기존 심혈관질환이 있거나 고위험군은 70 mg/dL 미만 을 권장합니다.
흡연(Smoking)
니코틴(Nicotine)과 일산화탄소(Carbon Monoxide)가 혈관 내피세포(Endothelium)를 손상시키고, 플라크를 빠르게 형성.
고혈압(Hypertension)
정상 혈압은 대체로 120/80 mmHg 미만 을 목표로 하며, 지속적인 고혈압은 동맥 벽에 물리적 손상을 초래.
당뇨병(Diabetes Mellitus)
공복 혈당(Fasting Blood Glucose) 100 mg/dL 미만 이 정상,100~125 mg/dL 는 당뇨 전단계(Prediabetes),126 mg/dL 이상 이면 당뇨병으로 진단.
고혈당(Hyperglycemia)은 혈관벽 손상 및 염증(Inflammation)을 촉진합니다.
비만(Obesity)
체질량지수(BMI, Body Mass Index) 25 이상 이면 과체중(Overweight), 30 이상 이면 비만(Obese)으로 분류.
복부 비만(허리둘레 남성 90cm 이상, 여성 85cm 이상)은 인슐린 저항성 증가 및 이상지질혈증(Dyslipidemia) 위험 상승.
운동 부족(Physical Inactivity), 가족력(Family History), 고령(Advanced Age), 과도한 스트레스(Excessive Stress) 등도 동맥경화를 악화시키는 중요 인자입니다.
2. 증상 (Clinical Manifestations)
초기 무증상 : 플라크가 어느 정도 커지기 전까지는 자각 증상이 거의 없습니다.
흉통(Chest Pain) 및 협심증(Angina) : 관상동맥이 좁아진 경우, 활동 시 흉통이나 답답함을 느낍니다.
다리 통증(Claudication) : 말초동맥(PAD, Peripheral Artery Disease)에 병변이 있는 경우, 걷거나 운동 시 다리 통증과 저림이 발생합니다.
뇌졸중(Stroke) 증상 : 갑작스러운 편마비(Hemiparesis), 언어장애(Aphasia), 시야장애(Visual Disturbance) 등을 유발합니다.
고혈압(Hypertension) 및 만성 피로감 : 혈관 저항이 증가해 혈압이 상승하고, 전신 피로가 동반될 수 있습니다.
3. 진단 (Diagnosis)
혈액 검사(Blood Tests)
LDL, HDL, Triglyceride 등을 포함한 지질 프로필(Lipid Profile) 확인.
LDL 은 고위험군에서 70 mg/dL 미만, 일반인은 100 mg/dL 미만을 목표치로 잡습니다.
**HDL(High-Density Lipoprotein, “좋은 콜레스테롤”)**은 남성 40 mg/dL 이상 , 여성 50 mg/dL 이상 권장.
Triglyceride 는 150 mg/dL 미만을 정상으로 봅니다.
심전도(ECG, Electrocardiogram)
심장 전기 활동을 기록하여 **허혈성 변화(Ischemic Changes)**나 부정맥(Arrhythmia) 여부를 파악합니다.
관상동맥 CT(Coronary CT with Calcium Scoring)
칼슘 스코어(Calcium Score)를 통해 관상동맥 내 플라크 축적 정도를 수치화할 수 있습니다.
혈관 조영술(Angiography)
조영제(Contrast Dye)를 주입해 혈관 내협착(Arterial Stenosis) 범위를 직접 확인.
중등도 이상(약 50% 이상의 협착)이 있으면 시술(혈관 성형술) 고려.
ABI 검사(Ankle-Brachial Index)
발목혈압(Ankle)과 상완혈압(Brachial)의 비율을 확인. 0.9 미만 이면 말초동맥질환 의심.
4. 치료 (Treatment)
1) 약물 치료(Medication Therapy)
스타틴(Statins)
아토르바스타틴(Atorvastatin), 로수바스타틴(Rosuvastatin) 등을 사용해 LDL 수치를 적극 조절합니다.
LDL 목표: 일반인은 100 mg/dL 미만, 심혈관질환 고위험군은 70 mg/dL 미만.
항혈소판제(Antiplatelet Agents)
아스피린(Aspirin), 클로피도그렐(Clopidogrel) 등으로 혈소판 응집(Platelet Aggregation)을 억제해 혈전을 예방합니다.
베타 차단제(Beta-blockers)
심박수(Heart Rate)와 혈압을 낮춰 심장 부담을 줄이고, 심근 산소수요를 감소시킵니다.
ACE 억제제(ACE Inhibitors)
예: 엔날라프릴(Enalapril), 리시노프릴(Lisinopril). 혈압 및 심장 부담을 줄여주며, 심부전 예방에도 효과가 있습니다.
2) 시술 및 수술(Procedures & Surgeries)
혈관 성형술(Angioplasty)
풍선 카테터(Balloon Catheter)로 좁아진 동맥을 확장.
스텐트 삽입(Stent Placement)
확장된 동맥을 유지하기 위해 스텐트(Stent)라는 금속망을 삽입.
관상동맥 우회술(CABG,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관상동맥 협착이 심해 시술이 어려울 때, 다른 혈관(Graft)을 이용해 막힌 부위를 우회(Bypass)하는 수술입니다.
5. 예방 (Prevention)
규칙적인 운동(Regular Exercise)
주 3~5회, 30분 이상의 유산소 운동(Aerobic Exercise) 권장.
적정 체중 유지 및 HDL 콜레스테롤 상승에 도움이 됩니다.
건강한 식단(Diet Control)
저지방, 고섬유질 식단 을 유지하고, 포화지방(Saturated Fat)과 트랜스지방(Trans Fat) 섭취를 줄입니다.
가공식품, 당류 (Sugar) 섭취도 최소화.
금연 및 절주(Smoking Cessation & Moderate Alcohol Intake)
흡연은 동맥 내피세포 손상을 가속화하므로 반드시 중단이 필요합니다.
과도한 음주는 고혈압과 비만을 유발하므로 적정량만 섭취하거나 끊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혈압, 당뇨, 콜레스테롤 철저 관리
혈압은 120/80 mmHg 미만, 공복 혈당 100 mg/dL 미만을 목표로 합니다.
LDL 콜레스테롤은 100 mg/dL 미만(고위험군은 70 mg/dL 미만)을 관리합니다.
정기 검진(Regular Check-ups)
최소 1년에 한 번 혈액검사, 심전도, 필요 시 심장 초음파(Echocardiogram)나 관상동맥 CT를 통해 조기 발견이 중요합니다.
6. FAQ (자주 묻는 질문)
동맥경화는 어떤 증상이 있나요?
초기에는 무증상이지만, 흉통(협심증), 다리 통증, 뇌졸중 증상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동맥경화는 완치가 가능한가요?
완치는 어렵지만, 약물 치료 와 생활습관 개선 으로 진행을 늦추고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동맥경화 예방에 가장 중요한 요소는 무엇인가요?
건강한 식단 , 금연 , 규칙적인 운동 이 핵심입니다.
동맥경화와 고혈압은 어떤 관계가 있나요?
고혈압은 혈관벽에 지속적인 물리적 손상을 주어 동맥경화를 촉진합니다.
콜레스테롤 수치는 어떻게 관리하나요?
저지방 식단 , 규칙적 운동 , 스타틴(Statins) 복용 등을 통해 LDL 수치를 적극 관리합니다.
동맥경화는 심장마비(Heart Attack)와 관련이 있나요?
관상동맥이 막히면 심근경색을 일으켜 심장마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흡연이 동맥경화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요?
흡연은 혈관 손상 및 염증 반응을 가속화해 플라크 생성 속도를 높입니다.
동맥경화를 조기에 진단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혈액 검사 , 심전도 , 심장 CT(칼슘 스코어) , 혈관 조영술 등을 통해 조기에 진단 가능합니다.
동맥경화가 진행되면 어떤 합병증이 생기나요?
심장마비 , 뇌졸중 , 말초동맥질환(PAD) 등이 주요 합병증입니다.
스트레스가 동맥경화에 영향을 미치나요?
스트레스는 교감신경 자극으로 혈압 상승 , 호르몬 변화 를 일으켜 동맥경화를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이 정보는 일반적인 참고용이며,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 반드시 의료 전문가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아플 땐 아프다에서 건강과 관리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찾아보세요.
#동맥경화 #atherosclerosis #심혈관질환 #ldl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관리 #고혈압 #당뇨병 #비만 #흡연 #스타틴 #심장질환 #뇌졸중 #혈관성형술 #관상동맥우회술 #건강검진 #운동과건강 #체중관리 #스트레스관리 #예방의학 #심전도검사 #혈관조영술 #관상동맥ct #칼슘스코어 #abi검사 #약물치료 #아프다 #아플땐아프다 #apuda #건강정보